AI 채팅 시스템을 도입할 때는 API 계약서의 세부 조항을 꼼꼼히 검토해야 기술 안정성과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 계약서 상에 누락된 사용 범위나 과금 체계 오류는 추후 비용 폭증이나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특히 SLA(서비스 수준 협약), 데이터 보안, 책임 분담 조항을 빠짐없이 정의해야 합니다.
이번 글을 참고해 API 계약서 작성 시 놓치기 쉬운 핵심 포인트를 확인하세요.
■ API 계약서 핵심 준수
사용 범위 및 호출 한도 명확화
API 이용 목적(챗봇, 분석, 테스트 등)과 호출 한도를 계약서에 구체 기재
초과 호출 시 과금 방식(초과 요금·차단·알림)을 명시
팁: 최대 예상 호출량과 버스트 트래픽을 고려해 예비 호출 한도를 설정하세요.
SLA 및 가용성 보장 조건
API 응답 시간(p95 기준), 월간 가동률(Uptime %) 목표치를 SLA로 규정
SLA 미달 시 보상 메커니즘(요금 환급·크레딧 지급)을 포함
팁: 재해 복구(RTO/RPO) 목표와 장애 통보 절차를 별도 부록에 명시하면 효과적입니다.
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
전송 암호화(TLS 버전), 저장 암호화, 로그 보관 기간을 계약서에 상세 규정
개인정보 처리 위탁·제3자 제공 시 사전 동의 및 별도 계약 체결 의무
팁: 데이터 처리 장소(리전)와 데이터 삭제 절차를 명확히 정해 준수 여부를 검증하세요.
지적재산권 및 라이선스
API 명세서·샘플 코드·SDK 등 산출물의 소유권 귀속을 명시
오픈소스·서드파티 라이선스 사용 시 준수사항과 보증 면책 조항을 계약에 반영
팁: 라이선스 위반 시 책임 소재와 배상 범위를 한도 내로 제한해 리스크를 관리하세요.
계약 기간 및 해지 조건
계약 기간, 자동 갱신 여부, 해지 통보 기간(예: 종료 30일 전 서면 통지)을 규정
해지 시 데이터 반환·서비스 중단 일정을 구체적으로 명시
팁: 샌드박스·프로덕션 환경 분리 기준을 계약서에 포함해 테스트 종료 후 자동 소멸을 보장하세요.
■ 자주 하는 질문(FAQ)
Q1. API 과금 방식이 복합적일 때 어떻게 정리하나요?
단위 호출·시간당 처리량·동시 연결 수 등 과금 항목별 단가표를 별첨해 명확히 비교·검증해야 합니다.
Q2. 서비스 장애 시 손해배상 범위는 어떻게 설정하나요?
손해배상 한도를 월 과금액 또는 연간 요금의 1배 이내로 제한해 예측 가능한 리스크로 관리하세요.
Q3. API 버전업 시 구버전 지원 기간은?
버전별 지원 종료 시점을 계약서에 기재하고, 마이그레이션 절차·비용 분담 방안을 명확히 합의해야 합니다.
■ 결 언
AI 채팅 시스템 구축을 위한 API 계약서 작성 시 사용 범위, SLA, 보안, 지적재산권, 해지 조건 다섯 가지 조항을 꼼꼼히 반영해야 합니다. 세부 계약서를 사전 검토하고, 부록·별첨 문서로 구체화해 기술적·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시기 바랍니다.
한 줄 요약
사용 범위·SLA·보안·지재권·해지 조건을 명확히 규정해 AI 채팅 API 계약 리스크를 완벽히 관리하세요.
※한국인터넷진흥원 – API 보안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📢 단 한 분께라도 도움되셨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.
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블로그 구독과 공유 부탁드려도 될까요?
귀하께서 구독자가 되어 주시고 공유해 주시고 자주 찾아 주신다면,
계절이 바뀌고 해가 바뀌어도 제가 블로그 글을 꾸준히 작성하는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