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저작권2

노코드 툴로 만든 앱, 법적 책임 주체는 누구? 노코드(No-Code) 툴을 이용하면 개발 지식 없이도 빠르게 앱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앱 운영 중 발생하는 법적 분쟁이나 손해 배상 문제에서는 책임 소재가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. 데이터 유출, 저작권 침해, 서비스 장애 등 다양한 이슈가 발생했을 때, 사용자·제작자·플랫폼 제공자 중 누가 책임을 져야 할지 명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이 글에서는 노코드 툴로 만든 앱과 관련해 자주 논의되는 네 가지 핵심 사례를 통해 책임 주체를 정리해 드립니다.■ 노코드 앱 운영 시 책임 소재 네 가지 핵심 포인트저작권 침해 콘텐츠 게재 문제• 앱 내 이미지·글·음원 등 저작권 보호 자료를 무단으로 사용한 경우• 책임 주체는 앱 배포자(제작자)입니다. 플랫폼 제공자는 통상 저작권 필터링 의무만 지고, 최종.. 2025. 7. 22.
사내 AI 도입 전 체크할 법적 유의사항 기업이 인공지능(AI)을 도입할 때는 기술적 준비만큼 법적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. AI 모델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의 저작권과 개인정보 보호 의무를 준수해야 향후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 또한 AI 판단 결과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손해배상 소송에 휘말릴 우려가 있습니다. 계약서 작성 단계부터 내부 정책 수립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. 이러한 법적 요건을 빠짐없이 확인한 후 도입을 추진하시기 바랍니다.■ 법적 안전장치1. 데이터 저작권·라이선스 확인AI 학습용 데이터가 저작권 보호 대상인지 여부와 사용 권한을 명확히 파악오픈소스·크리에이티브커먼즈 등 라이선스 조건(상업적 이용 가능·비영리 한정 등)을 준수팁: 모든 데이터 출처와 라이선스 정보를 목록화해 계약서 부속 .. 2025. 7. 11.
반응형